본문 바로가기
블렌더

블렌더 3D그래픽 로우폴리 나무 만들기

by 토리야경제해 2022. 10. 30.
반응형

 

유튜브 영상을 보고 로우 폴리 나무를 만들어보았습니다.

점들을 연결해서 나뭇가지 형태를 만들고 material 기능 중에 Skin을 사용해 나무에 살을 붙였습니다.

3D 그래픽 프로그램을 이용해 모델링을 할 때 폴리곤 수가 1,000~3,000개 이하를 로우 폴리곤이라고 합니다.

 

블렌더3D그래픽 로우폴리 나무 제작

 

로우 폴리 나무 제작 복습

처음 생성된 큐브에서 단축키 A를 선택하면 전체 선택이 됩니다. 

M을 클릭하면 Merge라고 점을 합쳐주는 기능이 나오는데 At center를 선택하면 점들을 가운데 한 곳으로 모아줍니다.

 

  • 단축키 A - 전체선택
  • M - Merge기능(합치기)
  • ~ - View 파이 창

 

키보드 ESC 밑 물결 ~을 선택하면 뷰 파이 창이 뜹니다.

뷰 파이는 사용자가 보고 싶은 Viewpoint를 지정하는 겁니다.

 

블렌더 View 파이 창

 

상단 Object에서 Transform을 선택 후 Randomize Transform을 누르면 선택된 오브젝트를 랜덤 하게 변경할 수 있습니다.

Location, Rotation, Scale을 바꿀 수 있습니다.

오브젝트 다중 선택 후, 마지막에 클릭한 객체의 색으로 선택된 오브젝트를 동일하게 바꿀 수 있습니다.

Ctrl + L을 누른 후 Link materials를 선택하면 같은 색으로 변경됩니다.

 

  • 상단 Object > Transform > Randomize Transform - 다중 선택 오브젝트의 Location, Rotation, Scale을 랜덤하게 변경
  • Ctrl + L -  Link materials의 기능으로 다중 선택 오브젝트를 동일 materials로 변경

 


 

동영상을 보면서 천천히 따라 만들 때는 참 쉽게도 된다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혼자서 다시 만들려고 하면 단축키도 그렇고 뭐부터 해야 할지 떠오르지가 않습니다.

복습 차 블로그에 기록하면서 영상을 여러 번 반복해서 보고 있습니다.

그래도 처음에는 화면도 익숙지 않고 마우스로 도형을 움직이는 것도 힘들었습니다.

하루하루 짧은 시간이나마 블렌더를 이용해 작은 거라도 차근차근 만들어본 게 도움이 되었습니다.

오늘도 로우 폴리 나무를 만들면서 처음 보는 블렌더의 기능들이 나왔는데요.

2주 전 블렌더 해보겠다고 프로그램 다운로드했을 때를 생각하면 지금은 나름 단축키도 몇 개 외우고 적용 가능하게 된 거 같아 뿌듯합니다.

초보 블렌더 독학러는 조금씩 성장하고 있습니다.

 

다음에는 리깅 하는 법을 공부하려고 합니다.

한 번씩 영상을 보기만 했는데도 블렌더 안에서 만들어진 캐릭터가 만들어진 뼈대를 통해 움직인다는 게 신기합니다.

리깅은 3D 모델링 캐릭터의 뼈대를 만들고 할당해 움직일 수 있는 상태로 만드는 것을 말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