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금연, 시간 경과에 따른 건강 변화와 필요성

by 토리야경제해 2022. 9. 14.
반응형

 

흡연자들에게 금연은 말이야 쉽지 막상 실행하기가 어려운 단어입니다.

보통 새해에는 금연을 목표로 하는 사람들이 많다가도 흡연의 중독성 때문에 금연에 실패하는 사람이 대다수입니다.

그만큼 어려운 금연, 어떻게 해야 끊을 수 있을까요?

금연을 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서 적어보려 합니다.

 

 

금연 후 시간 경과에 따른 신체 변화

20분 - 혈압과 맥박이 정상으로 돌아오고 손발의 체온이 정상 수준으로 증가합니다.

12시간 - 혈액 속의 산소량이 정상으로 올라가고 일산화탄소 양도 정상으로 떨어집니다.

2주~3개월 - 혈액순환이 좋아지고 폐기능이 좋아집니다.

1~9개월 - 기침이 줄어들고 숨쉬기 편안해지며, 폐의 섬모가 정상기능을 찾아 여러 가지 감염 위험이 줄어듭니다.

1년 - 심장병에 걸릴 위험이 흡연자의 절반으로 갑소합니다.

5년 - 금연 후 5~15년이 지나면 중풍에 걸릴 위험이 비흡연자와 같아집니다.

10년 - 폐암 사망률이 흡연자의 절반 수준이 되며, 구강암, 후두암, 식도암, 방광암, 신장암, 췌장암의 발생 위험도 감소합니다.

15년 - 심장병에 걸릴 위험이 비흡연자와 같아집니다.

 

금연을 함으로써 얻는 이득이 많습니다.

주변에 흡연하던 사람들이 금연을 했다가도 몇 달 후, 몇 년 후 다시 피는 경우를 종종 봤습니다.

담배를 피우던 안 피던 아직까지는 아프지 않기도 하고, 담배를 무조건 피운다고 해서 일찍 사망하는 것도 아니라고 주장하는 경우도 봤는데요. 

그럼, 앞에서는 금연의 효과를 알아봤다면 흡연함으로써 얻는 불이익은 무엇인지 확인해보겠습니다.

 

 

흡연이 주는 불이익

흡연은 외모에 즉각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 머리, 몸, 손가락 등 모든 것에 담배냄새가 배게 됩니다.

- 치아가 누렇게 변색되고, 입에서 불쾌한 냄새가 납니다.

- 노화를 앞당깁니다.

 

본인뿐만 아니라 가족의 건강을 위협합니다.

- 간접흡연에 노출된 비흡연자는 폐암 발생 위험이 있습니다.

- 매년 간접흡연으로 인해 100만 명이 사망하고 있습니다.

 

아이들의 건강과 안전을 해칩니다.

- 폐로 가는 기도에 염증이 생겨 천식 발생 위험이 있습니다.

- 2세 미만 영아는 중이 질환에 걸려 청력 장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비용이 많이 듭니다.

- 일부 연구에 의하면 흡연자 1인당 평균 한화 기준 약 15.6억 원의 비용을 지출합니다.

  담배 구매비, 흡연 및 간접흡연 노출로 인한 질병 발생에 따른 의료비와 낮은 임금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전 세계적으로 인적자원 손실 및 의료비가 약 1,562조로 추정됩니다.

 

생식 능력을 저하시킵니다.

 

가열 담배(궐련형 전자담배)도 건강에 해롭습니다.

- 가열 담배도 담배입니다. 금연이 결코 아닙니다.

 

3차 간접흡연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흡연 시 발생하는 독성물질 중 가스 형태의 화학물질이 옷, 가구 등의 표면에 달라붙습니다.

  길게는 몇 달까지 장시간 공기 중에 배출될 수 있는데 이를 3차 간접흡연이라고 합니다.

 

 

백해무익하기만 한 담배

오래 사는 게 목표가 아니더라도 건강하게 사는 게 좋지 않을까요?

건강할 때 미리 자신의 몸을 챙겨야 합니다.

지금 이 순간도 흡연자는 발암물질을 먹고 있습니다.

암과 같은 질병이 발생했다고 스스로 알려주지 않습니다.

고통이 시작되면 의학적으로 손을 쓸 수 없는 상황에 이를 수 있으니 내일이 아닌 지금 당장 금연에 도전하시기 바랍니다.

나만을 위한 것이 아닌 주변인들에게도 동시에 이익을 주는 금연, 올바르게 준비해서 성공하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