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제약회사 바이오젠이 알츠하이머 치료제 임상 3상 성공을 했습니다.
자체 개발하고 있는 치매약 레카네맘의 효능이 있는 것을 입증했습니다.
빠른 시일 내 미국 식품의약국 FDA 승인을 얻어 시판할 계획인데요.
금일 신약 성공 소식에 삼성바이오로직스 주가가 6% 상승해 813,000원에 마감했습니다.
삼성 바이오로직스는 2012년 바이오젠과 합작 투자를 하여 삼성바이오에피스를 설립했습니다.
단백질 공학, 세포주 개발 및 재조합에 대한 전문지식을 제공하여 바이오시밀러 시장에 참여케 했는데요.
지금은 바이오젠이 가진 지분 전량을 삼성 바이오로직스가 인수했습니다.
극복할 수 없을 거라고 생각한 질병인 치매의 신약 성공으로 치료가 가능할지 기대가 됩니다.
바이오시밀러란
국내 바이오시밀러 기업으로는 셀트리온과 바이오에피스가 있습니다.
2019년까지만 해도 글로벌 바이오시밀러 시장 경쟁이 치열하지 않았습니다.
최근 한국바이오협회에 의하면 미국 FDA에서 바이오시밀러 허가를 내준 글로벌 제약회사가 많습니다.
미국의 화이자, 암젠, 스위스의 글로벌 제약회사 노바티스의 자회사인 산도즈 등 다양한 업체들이 시장을 점유하고 있습니다.
제약회사가 새로운 의약품을 개발하면 일정기간 특허를 인정해줍니다.
대략 20년 정도가 되는데 기간이 지나면 다른 회사도 동일하게 제조하여 복제약을 판매할 수 있습니다.
복제약과는 달리 화학적으로 합성할 수 없어 세포에서 생산해야 하는 생물 의약품이 있습니다.
제조회사에 따라 세포 생산 조건과 정제방법이 달라 최초 개발된 의약품과는 완벽하게 동일하지 않은 약을 바이오시밀러라고 부릅니다.
따라서 특허 기간이 끝나자 마자 시장에서 선점하는 게 중요합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
삼성그룹의 계열사로 2011년 4월 설립되었으며, 국내외 제약회사의 첨단 바이오의약품을 위탁 생산하는 CMO 사업을 하고 있습니다.
2018년 cGMP 생산을 시작하여 2019년 말 기준 26.2만 리터 생산설비를 가동 중입니다.
cGMP는 강화된 우수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을 말합니다.
바이오의약품 연구개발 자회사인 삼성바이오에피스와 아키젠 바이오텍은 바이오시밀러 개발 및 상업화를 진행 중입니다.
매출 구성은 CDMO 제품 등 80.8%, 바이오의약품 개발 및 상업화 12.8% CDMO 서비스 6.4% 차지하고 있습니다.
지배구조로는 지분율 삼성물산 43.10%, 삼성전자 31.20% 보유하고 있습니다.
코스피 시총 순위 4위, 시가총액 57조 8,645억입니다.
상장주식수는 71,174,000주, 금일 종가로 주가는 813,000원입니다.
2022년 1분기에 매출액 5,113억, 영업이익 1,746억, 순이익 1,469억이었습니다.
2분기 실적은 매출액 6,514억, 영업이익 1,697억, 순이익 1,520억으로 1, 2분기 전년 동기 대비 상승했습니다.
높은 생산성을 바탕으로 매출이 지속적으로 크게 성장하고 있으나 비용도 증가하고 있습니다만, 매출로 높은 수익성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2021년 자산 8조, 부채 3조, 자본 5조인데 올해 추정치로는 자산 11.3조, 부채 4.4조, 자본 6.9조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휴미라 시밀러 제품이 23년 7월에 출시될 계획입니다.
삼성바이오에피스의 시밀러 제품은 암젠에 이어 두 번째로 판매될 것으로 예정되어 있고, 4 공장 증설로 실적 증가가 예상됩니다.
종목추천이 아닙니다.
주식 투자로 인한 손해는 본인에게 있습니다.
'경제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양 주가 상승 및 실적, 기업정보 (0) | 2022.10.29 |
---|---|
LG에너지솔루션 주가 3분기 실적발표 (1) | 2022.10.26 |
배합사료주 고려산업 한일사료 기업정보 주가 (0) | 2022.09.28 |
정기적금 정기예금 금리비교 (1) | 2022.09.21 |
소비자물가와 기준금리(FOMC 9월 20~21일) (1) | 2022.09.17 |